Search

순국선열의 날(11.17)

법정기념일
국권 회복을 위하여 헌신·희생하신 순국선열의 독립정신과 희생정신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 위훈을 기리는 날 ※ “순국선열”은 일제의 국권침탈 전·후부터 1945. 8. 14.까지 국내외에서 국권침탈을 반대하거나 독립을 위해 항거하다가 순국한 분을 말함
주관부처
국가보훈부
공휴일
아님
유래 및 연혁
• ‘05. 11. 17. 망국조약인 “을사5조약” 강제 체결일 • '39. 11. 21.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“순국선열공동기념일”로 정하고 전국동포가 기념할 것을 의결(임시 의정원 제31회 임시총회), 이후 추모행사 거행 • '46. ∼ '49. 순국선열추모행사 거행 ※ 김구선생(48년까지), 이승만대통령 참석 • '57. 1. 17. 대한상무회 창립- 대한민국제대장병보도회와 대한참전전우회 통합 • '55∼ '69. 정부에서 추모행사 거행 • '70∼ '79. 정부행사 폐지, 유족단체 주관 거행 • '81∼ '96. 각계대표로 구성된 제전위원회 주관 거행 • '97. 5. 9. 법정기념일로 제정

교육자료

누리집

기념시설

독립문(서울 서대문구)
서대문형무소역사관(서울 서대문구)
3·1독립선언기념탑(서울 서대문구)
탑골공원(서울 종로구)
대한민국역사박물관(서울 종로구)
부산광복기념관(부산 서구)
독립기념관(충남 천안시)
유관순열사기념관(충남 천안시)
백범김구기념관(서울 용산구)
도산안창호기념관(서울 강남구)
효창공원(서울 용산구)